행복한 연애 중인데 왜 바람을 피울까? 전문가들이 말하는 6가지 이유
누군가가 바람을 피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,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감정은 배신감이나 분노일 수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혼란스러움도 크게 다가옵니다. 특히 관계가 겉보기에 행복하고 안정적이었다면 ‘도대체 왜?’라는 의문이 더 커지죠.
하지만 관계 전문가들은 말합니다. 바람은 꼭 불행한 관계에서만 발생하는 게 아니라고요. 다음은 전문가들이 밝힌, 행복한 관계에서도 바람이 발생할 수 있는 6가지 심리적 원인입니다.
1. 자존감이 낮을 때
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은 때때로 외부에서의 인정을 갈망하게 만듭니다. 파트너에게 충분한 사랑을 받고 있음에도, 다른 사람에게서 호감을 받았을 때 얻는 짜릿한 감정은 일시적으로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어요. 이런 ‘확인 욕구’가 외도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2. 새로운 자극과 흥분을 원할 때
새로운 경험은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하게 만듭니다. 일부 사람들은 현재 관계가 안정적이고 만족스럽더라도 새로운 사람과의 관계에서 오는 설렘을 원할 수 있어요. 이는 단순히 ‘지루함을 깨기 위한 행동’일 수 있습니다.
3. 성적 욕구 차이
파트너와 성적인 욕구가 맞지 않을 경우, 어느 한쪽이 지속적으로 욕구를 충족받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, 외부에서 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유혹에 흔들릴 수 있어요. 물론 이는 바람을 정당화하지 않지만, 많은 경우 원인이 되곤 합니다.
4. 과거의 상처나 트라우마
어릴 적 부모의 외도 경험을 목격했거나, 신뢰 문제를 겪은 과거가 있다면, 이러한 경험이 무의식적으로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또한 애착 유형이 불안하거나 회피적인 사람은 안정적인 관계 안에서도 불안을 느끼고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있어요.
5. 외로움을 느낄 때
파트너가 자주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집을 비우거나, 감정적 교류가 부족한 경우, 외로움은 외도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. 처음에는 단순한 감정적 교류에서 시작되어, 점점 더 깊은 관계로 발전할 수도 있죠.
6. 충동 조절 능력이 부족할 때
어떤 사람들은 유혹을 이겨내는 데에 어려움을 느낍니다.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감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바람을 택하기도 해요. 이는 단순한 쾌락 추구가 아니라, 더 깊은 감정적 문제나 조절력 부족에서 기인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하며
행복한 관계 안에서도 외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외도는 반드시 그 사람의 성격이 나빠서만 생기는 일은 아니며, 다양한 심리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해요.
그렇기 때문에 외도를 경험했을 때 무조건적인 비난보다는, 그 이면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. 물론 그 관계를 지속할지 말지는 온전히 당신의 선택이지만요.
#외도심리 #연애문제 #행복한관계 #자존감문제 #감정조절 #심리상담 #바람피우는이유
0 댓글